미얀마 시민들의 민주화 투쟁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지 두 달이 지났다. 4월 3일 기준 군부 쿠데타 이후 어린이 40명을 포함해 최소 55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미얀마 시민의 불복종운동과 평화시위에 대한 군부의 대응은 더욱 잔혹해지고 있다. 국제사회는 미얀마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지지와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우선 ···
나현필(국제민주연대)민주주의를 위해 금기에 도전하는 태국 청년들태국은 한국인들에게 어느 나라보다 친숙한 국가이다. 코로나 19 사태 이전에는 태국 정부가 태국을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 수를 삼백만 명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을 정도로 많은 한국인이 태국을 찾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에도 많은 태국인 이주노동자들과 유학생 및 관광객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
대만을 보는 우리의 시각글 박윤철 호서대 중국학과 교수 / pkwlka@hoseo.edu 대만의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대만을 바라보는 우리의 기본적인 시각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한 사회에 대한 깊고 애정 어린 이해를 위해서는 외부적 시각과 함께 내재적 시각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한국 언론은 대부분 대만에 주재기자를 두지 않고, 북경 ···
<내 이름은 말랄라> : 상식에 대한 공격에 대처하는 자세 글 성지훈/ acesjh@gmail.com “저의 목소리는 혼자가 아닌 여러 명의 목소리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목소리는 매일 커지고 있습니다.” - 말랄라 유사프자이# 상식2012년 파키스탄 스와트 밸리에서 열다섯 살의 말랄라가 총에···
끝없는 군사독재파키스탄회교공화국(Islamic Republic of Pakistan)은 면적이 한반도의 3.5배나 되고 인구는 1억 5천 정도로 비교적 큰 국가이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반복되는 군사독재정권이 집권해 왔다. 파키스탄은 독립 후 58년 중 약 30년 동안을 군사정권이 통치해왔고 앞으로도 이 기간은 늘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렇다보니···
중국의 민주주의를 논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1989년 6월에 발생한 천안문사태다. 서구에서는 1978년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한 이후 경제변화가 정치변화를 촉진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예측을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1980년대에 덩샤오핑 등 중국공산당 내의 개혁파들이 경제개혁과 함께 정치개혁을 주된 의제로 강조하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예···
지난 4월 말 베트남에서는 제 10차 공산당대회가 열렸다. 당 대회는 공산당이 국가 전체를 지도하기 위한 지침을 채택하고 지도자들을 뽑기 위해 매 5년마다 여는 것이다. 이번 당 대회에서는 ‘도이머이’(Doi Moi, 쇄신) 20주년을 맞아 지난 성과를 총결산하고 향후 5년 동안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며 베트남을 이끌어갈 지도자들을 선출하였다. 이번 대회에서는···
원론적으로 말해서 민주화란 국민과 민중이 주인 되는 것, 즉 폭력 수단을 독점한 국가(state)로부터 사회(국민과 민중)가 자유와 평등권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유와 평등권이 주어졌을 때 주인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을 갖추게 된다. 또한 인류는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 한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권력 분립의 제도화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