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와 정치군인들은 수천 명의 혁신계 인사들과 학생들을 검거함으로써 통일과 민주화의 불씨를 신속하게 잠재웠고 그 뒤 오랜 암흑이 이어졌다. 남북 관계도 그랬다. 1972년, 분단 이후 최초의 당국 간 밀사외교의 성과로 ‘7·4 남북공동성명’이 채택됐으나 유신체제 성립에 이용됐을 뿐이다. 80년대에도 정부 차원의 간헐적인 남북 교류가 진행되었으나 양쪽 정권의 이해관계에 따라 중단되곤 했다.
그러다가 87년 6월민주항쟁으로 변화된 정세는 오랫동안 억눌려왔던 민간 통일운동을 다시금 고양시켰다. 이후 88년 서울 올림픽의 남북공동개최 논의는 통일 열기에 더욱 불을 지폈다.
88년, 3월에는 서울대생 김중기가 총학생회장 선거에 나와 27년 만에 6?10남북학생회담을 제안했고 5월에는 같은 대학 조성만 열사가 ‘척박한 땅, 한반도에서 한 인간이 조국통일을 염원하다.’라는 유서를 뿌리고 명동성당에서 할복 투신해 반미자주화운동을 각성시켰다. 한편 민족통일민중운동연합 등 진보적 사회단체들이 학생운동과 적극 연대하면서 통일운동은 각계각층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60년 4?19 직후의 모습이 재현되고 있었다. 광범위한 통일 열기에 밀려 갓 취임한 대통령 노태우는 남북 인사의 교류와 해외동포의 자유왕래를 보장하는 ‘7?7특별선언’을 발표하였다.
한편 북한의 조선학생위원회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이듬해 7월, 평양에서 개최될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을 초청했다. 이를 수락한 전대협은 평양축전 참가를 89년 주요사업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당시 전대협 평양축전준비위원회(축전준비위) 위원장이었던 전문환(38) 씨는 당시 상황을 들려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