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족의 길, 예술의 길 언젠가 시인 김지하는 예술이란 ‘기록이라는 이름의 기억행위’라고 말했다. 우리가 삶을 돌아볼 때 제일 큰 게 ‘모르는 것’이 아니고 ‘잊음’이며, 또 예술에 있어서는 긴장이 흐트러질 때가 잊음이라고 했다. 우리는 오늘 왜 살고 있는 것인가. 때때로 우리는 삶의 이상, 삶의 뜻을 망각하고 살지 않는가. 삶 속에서 지혜를 잊고 예술에서 긴장과 창조적 상상력을 잃는다면 세상이 얼마나 어둡고 메마르겠는가. 설을 앞둔 지난달 15일(목), 『희망세상』 취재진은 국립현대미술관을 찾았다. 오랜 세월 제도권 밖에서 독재에 저항하며 민주화운동과 문화운동 그리고 후학을 가르쳐온 김윤수 선생이 이제 일흔을 넘긴 노구를 이끌고 그곳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작품과 자료를 수집·보존과 전시, 조사·연구와 국제교류 그리고 미술활동의 보급과 교육을 도맡은 기관의 수장이 되었다. 김윤수 관장을 만났다. 그는 한때 혁명적 로맨티스트라고 알려지기도 했다. 젊은 시절부터 걸어온 길, 양심적 지식인으로서의 삶과 민족미술운동에서 보여준 실천적인 활동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나는 감회가 새로웠다. 그건 미술 문외한인 내게 너무도 고마운 축복이어서 벌써 가슴 가득히 감동이 밀려오는 것이었다. |
- 선생님은 1973년 장준하, 백기완 선생이 주도한 ‘개헌청원 30인 선언’에 동참하신 이후 ‘민주회복국민회의’ 결성과 김지하 시인의 구명운동 그리고 구속학생 석방운동에 열심이셨습니다. 그러다가 마침내 도피 중인 학생을 피신시킨 이유로 구속되고 그 뒤 해직과 복직을 반복하셨습니다. 그리고 민족미술인협의회와 민족예술인총연합회 등에서 문화운동을 이끄셨습니다. 그러한 운동에 참여하시게 된 동기가 있으신지요.
“특별하게 동기라는 것은 없었습니다. 대부분 그렇듯이 그 무렵 제게도 어떤 부채감 같은 것이 있었죠. 학생들이 나서서 싸우고 끌려가고 하는데 지식인이랍시고 책만 보고 앉아 있을 수 없었지요. ‘현실적인 것이 이성적이고, 이성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이라는 헤겔의 말도 있잖아요. 그리고 제가 자란 환경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거예요. 아버님이 일제 때 초등학교 선생님이셨는데 민족주의 사상을 가진 분이셨습니다.” - 선생님은 재야에서 활동하시다가 제도권의 예술행정을 맡으셨습니다. 오늘의 한국 미술에 관하여 선생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먼저 우스갯소리 하나 하지요. 제가 이곳 관장이 되고난 얼마 뒤였어요. 전부터 알고 지내던 일본인 교수를 만났는데 그분이 하는 말이 한국은 참 재미있는 나라다. 김 교수 같은 반체제 인사가 어떻게 제도권 중심에 들어가 국립미술관 관장이 될 수 있는가, 라는 거예요.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역동적 현상이라는 거지요.(웃음) 그렇지요. 그런 것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힘이고 희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
|
우리 민족은 식민시대를 지나 분단과 전쟁 그리고 독재의 고통을 받았습니다. 그런 가운데 예술을 발전시키지 못했습니다. 있다 해도 아직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주체적으로 문화를 이끌어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독창적 문화유산을 민족주의적 예술관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합니다. 세계화시대라는 이름 아래에서 민족주의는 곧잘 편협주의로 읽히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결코 갇히거나 닫힌 생각이 아닙니다. 쉬운 일은 아니지만 오늘을 사는 데 더욱 필요한 삶의 방식이자 예술의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한국 미술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어딘가 머물러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 작가들의 예술적 성과나 경향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우리에게 훌륭한 작가와 작품은 많이 있습니다. 모두 소중하지요. 그러나 한편으론 그대로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겠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지키고 발전시켜 꽃피워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끊임없는 자기갱신을 통해 이루어내야 할 가치들을 찾아 상상력을 확대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삶의 방식이 변화하더라도 작가는 현실에 밀착하려는 노력도 함께해야 합니다. 끊임없이 문화적·사회적 모순에 접근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지난 해, 미군기지 이전문제로 고통 받는 대추리 주민에게 달려간 미술인들의 용기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식민지배의 폭압을 민중 스스로의 정화를 통해 벗어나야 한다는 흑인해방운동가 프란츠 파농이 주장한 이론에 저는 아직도 동의합니다. 인류 문명사의 흐름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질서라는 것이 결국 그 형태만 바뀔 뿐, 속성이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술가는 사회적 모순에 다가가 밀착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