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에 대해 어느 정도 안다고 하는 사람들은 ‘북촌’이라는 마을을 4·3과 동일시한다. 그만큼 북촌이라는 마을이 제주4·3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코드가 된다는 것이다. 북촌과 4·3을 연결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다름 아닌 소설가 현기영의 『순이 삼촌』이다. 물론 소설에는 ‘북촌’이 아니라 ‘서촌’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북촌의 원래 명칭은 ‘뒷개’다. 마을의 아래쪽으로 포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제주시에서 자동차로 30분 거리에 북촌이 있다. 일주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함덕리가 나오는데, 이 함덕리가 4·3 당시 북촌에서 있었던 이른바 ‘북촌대학살’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함덕리에 당시 대대본부가 있었고 북촌 학살에 참여한 군부대가 바로 이 부대이다. 대대본부가 있었던 함덕초등학교는 지금 놀이공원이 되어 그때의 흔적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대학살의 전초가 된 북촌포구
지금은 방파제가 들어서고 포구를 새로이 만들어 옛 모습은 많이 사라졌지만 북촌에 들르면 우선 포구에 가야 한다. 눈 앞에 섬이 들어온다. ‘달여도’라는 섬이다. 포구 앞에 섬이 있으면 비교적 부촌이라 했다. 왜냐하면 섬과 포구 사이에는 비교적 수심이 낮고 해산물이 많아 넉넉하기 때문이다.
1948년 6월 북촌리 포구로 풍선 한 척이 들어온다. 우도를 출발하여 제주로 향하던 배가 풍랑을 만나 잠시 정박하기 위해 들어온 것이다. 당시 북촌에는 군경의 검거 선풍이 몰아치던 국면이라 마을의 소년·소녀들은 언덕에 엎드려 깃발을 흔들어 마을에 들어오는 배 또는 사람들을 마을에 알리는 일을 했다. 배가 들어오자 어김없이 깃발이 나부꼈고 마을 사람들은 포구로 향한다. 배 안에는 경찰 두 명이 타고 있었고 결국 경찰은 마을 사람들에게 희생된다. 그렇지 않아도 5·10 선거를 보이콧 당한 경찰은 이를 빌미로 대대적인 검거에 나선다. 마을 사람들은 남아있다가는 무슨 봉변을 당할지 모르는 처지라 삼삼오오 산으로 오르거나 잠시 집을 피해 마을을 떠난다.
포구 옆에는 ‘등명대’ 라는 비석이 남아있는데 그곳에 등대가 있었다는 흔적이다. 1912년에 세워진 등대이니 꽤 오래된 등대이다. 그런데 이 등대를 유심히 바라보면 군데군데 흠집이 나 있다. 마을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군경들이 포구에 왔다가 저 비석을 과녁으로 사격연습을 했다는 것이다. 역사의 소용돌이에선 인간도 짐승도 그 어떠한 것도 마음을 놓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연설 들으러 나오라” - 북촌초등학교
1948년 음력 섣달 열 아흐렛날 새벽. 북촌 앞을 지나가던 군용차량이 무장대의 기습을 받아 군인이 희생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도망간 무장대를 추적하던 군인들은 그들의 노획물 중 차롱에 담겨 있는 따뜻한 밥이 있음을 확인하고 필시 이 마을에서 무장대와 내통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바로 북촌대학살의 직접적인 도화선이다. 날이 밝자 마을 어른들은 숙의 끝에 시신을 싣고 함덕에 있는 대대본부로 향한다. 우리 마을 사람들의 소행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기 위함이다.
|
|
그러나 대대본부로 간 십여 명의 노인들은 돌아오지 못했다. 노인을 학살한 군인들은 몇 대의 트럭에 나누어 타고 북촌으로 들어온다. 그날 북촌은 싸락눈이 내리고 있었고 마을 사람들은 초가지붕을 덮을 집 줄을 짜고 있거나 파도에 실려 올라온 감태나 해초를 주우러 바다에 가 있었다.
4,5명씩 조를 지어 골목마다 돌아다니며 군인들은 외친다. “초등학교 운동장으로 모이라!”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 나와야 한다.” “나오지 않으면 모두 빨갱이다.”
마을 사람들은 엉겁결에 운동장으로 모인다. 병약한 노인들도 가족의 등에 업혀 나온다. 운동장에는 대략 천여 명의 마을 사람들이 줄을 지어 앉아 있다. 군인들은 우선 군경가족들을 한쪽으로 정열하고 나머지는 한쪽으로 몰아세운다.한편 주민들을 운동장으로 내몬 군인들은 마을을 불태우기 시작한다. 조짚에 불을 붙이고 지붕 위로 던진다.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지붕이 타들어가고 서까래가 힘없이 무너진다. 돼지우리에 있던 돼지가 불에 타고 쇠막에 묶여 있던 소가 타 죽는다.
|
도저히 움직일 수 없어 방안에 누워있던 사람들이 아무 대책 없이 불길에 휩싸인다. 포구로 내려온 군인들은 묶어놓았던 배에도 불을 던진다. 배 안에 숨어 있던 사람들이 불길을 피해 바다로 뛰어내렸으나 군인들의 총탄은 그들을 가만 놔두지 않는다.
마을이 불에 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사람들은 동요를 하기 시작한다. 학교 운동장을 가로질러 울타리로 오른다. 울타리가 무너진다. 총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총소리에 놀란 마을 사람들이 운동장 구석으로 몸을 피한다. 진눈깨비로 질척거리는 운동장에는 짝을 잃은 고무신들이 수도 없이 나뒹굴고 있다. 운동장 가운데에는 한 여인이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고, 어미의 죽음을 알지 못하는 젖먹이가 어미의 젖가슴을 파고든다.
대대장의 차량이 운동장으로 들어오고 차량에서 긴급 간부회의가 열린다. 마을 사람들을 어떻게 처치할 것인가 하는 문제 때문이다. 운동장을 돌아가면서 기관총을 걸어 한꺼번에 죽이자는 의견은 총살 경험이 없는 군인들에게 경험을 쌓게 해주어야 한다는 의견에 묻혀 결국 초등학교 옆 ‘당팟’, ‘너분숭이’로 끌려가 처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사람들이 수십 명씩 밭 한가운데로 밀려나오자 총소리가 귀를 찢는다. 아비규환이다. 모두 쓰러지면 총소리도 멎는다. 군인들은 다시 밭으로 들어가 시신들을 발로 툭,툭 건드린다. 확인하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숨이 붙어있는 사람의 등짝엔 여지없이 총탄이 박힌다. 이렇게 수십 명 단위로 열 번이 넘게 학살이 계속되었다. 죽음과 죽임이 반복되는 동안 어느덧 해는 뉘엿뉘엿 지고 있었다.
옴팡진밭의 유채꽃
당시 학살의 현장인 ‘당팟’으로 간다. ‘당(堂)이 옆에 있는 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늘이 싱그럽게 대를 세우고 있다. 학살 이후 이 밭에 고구마를 심었는데 고구마 알맹이가 어린아이 머리통만 했다 한다. 죽은 사람의 피와 살을 먹고 자란 고구마여서 색깔도 핏빛을 띠어 아무도 먹지 않았다 한다.
‘너분숭이’로 간다. 넓은 바위라는 말이다. 당시 죽어간 어린아이의 무덤들이 이십여 개 눈에 들어온다. 경황이 없던 터라 제대로 묻지도 못하고 대강 가매장을 한 흔적이 역력하다.
|
|
|
이 곳은 원래 소나무 밭이었는데 도로를 확장하면서 공원으로 조성되어 정지작업을 하던 중에 발견하였다. 이제는 4·3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많은 이들이 찾는다. 지난해 제주에서 민족문학인대회가 열렸는데 전국에서 모여든 문인들이 자기 지역의 물과 흙을 들고 와 동백나무를 심으면서 합수 합토제를 지냈는데 그때 심은 동백나무가 바람을 머금고 서 있다.
안쪽으로 더 들어가 보면 미완으로 남아있는 방사탑이 눈에 들어온다. 마을에서도 이 탑에 대해 정확한 증언을 하는 이가 없다. 무슨 연유로, 누가 쌓았는지 알 길이 없다. 사실적 근거가 없으면 역사적 상상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 미완의 방사탑에 대해 오승국 제주4·3연구소 사무처장은 조심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