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d-letter

황인철 변호사의 김재규 노트


 

10월 26일은 한국 현대사에서 아주 특별한 날이다. 이 날은 70년 간격을 두고 세기의 저격사건이 일어난 날이기 때문이다. 두 사건 모두 명확한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당대 최고 권력자를 권총으로 살해한 역사적 ‘거사(擧事)’였다. 1909년 10월 26일은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반침략 거사의 날’이었고, 1979년 10월 26은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가 박정희를 죽인 ‘반독재 거사의 날’이었다.
우연치고는 너무나 의미심장하다. 두 사건은 거사의 본질과 방법이 거의 같다. 둘 다 ‘주권회복을 위한 거사’였는데, 안중근의 경우 일본의 침략에 맞선 ‘국가주권 회복을 위한 거사’였다면, 김재규의 경우는 박정희의 유신독재에 맞선 ‘국민주권 회복을 위한 거사’였다.
처단 대상을 당대 최고의 권력자로 삼은 것이나 실행 방법이 ‘단독 처단’이라는 점도 비슷하다. 안중근과 김재규는 동지나 부하 몇 명하고만 의논한 뒤에 혼자서 권력자를 처단했고 그 책임도 혼자 지려고 했다.
거사 날짜가 같고 거사의 본질과 방법이 비슷하지만 두 거사의 주역이 받는 대우는 극과 극이다. 안중근은 하늘이고 김재규는 땅이다. 아니 땅 밑이다.
안중근의 10·26은 ‘침략의 원흉’을 제거한 영웅적 독립운동으로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안중근 개인은 민족적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의사(義士)로 받들어진다. 국가 차원에서도 그렇고 사람들의 마음속에서도 안중근은 위대한 인물이다. 이런 높은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 남산에 있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과 그의 서예작품들이다. 특히 그의 ‘大韓國人 安重根(대한국인 안중근)’ 휘호는 많은 청년들이 자동차 유리창에다 붙이고 다닐 정도로 ‘민족정신의 상징’이 되어 있다.
반면 김재규의 10·26은 아직 ‘내란목적 살인 사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0·26 재평가와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추진위원회>가 그의 명예회복을 위해 활동하고 있지만 아직 요원하다. 더구나 <김재규 의사 기념관> 건립은 엄두도 낼 수 없다.
민주화 18년이 되도록 역사는 아직도 독재자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인가? 박정희는 근대화 혁명가로 화려하게 부활한 반면에 김재규는 아직도 ‘대통령 시해범’이라는 멍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가 남긴 ‘평등’, ‘자유민주주의’, ‘민권’ 등등의 휘호들은 걸릴 자리가 없다.
 

안중근과 김재규
같은 성격의 거사에 대해 이런 식의 극과 극의 평가는 정당한가? 내가 보기에는 그렇지 않다. 너무나 불공정하다. 평가의 차원마저 다르다. 안중근은 민족사 차원에서 ‘평가’되는 반면 김재규는 실정법 차원에서 ‘심판’을 받고 있다. 김재규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하자면 이런 말도 안되는 이중 잣대부터 버려야 한다.
실정법으로만 따지면 안중근이나 김재규나 살인범이기는 마찬가지다. 따라서 김재규에 대해서도 실정법 차원의 ‘심판’이 아니라 역사적 차원의 ‘평가’가 필요하다.
김재규와 10·26 거사를 제대로 평가하자면 다음
세 가지는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첫째 박정희와 유신체제의 성격을 밝혀내고, 둘째 김재규가 박정희를 죽인 동기를 찾아내고, 셋째 김재규의 박정희 살해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논란은 있지만 박정희와 유신체제의 성격에 대해서는 답이 거의 나와 있다. 박정희가 독재자이고 유신체제가 지독한 일인지배체제라는 데는 거의 의견이 일치한다. 박정희가 독재자가 아니라거나 유신체제가 민주주의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견이 있다면 박정희는 어떤 성격의 독재자인가, 왜 독재를 했는가, 박정희의 유신체제와 김일성의 유일체제는 얼마나 닮은꼴인가 등등이다.

 

둘째 질문에 대한 답은 아주 다양하다. 권력을 잡기 위해서 박정희를 죽였다는 쿠데타 설, 미국의 박정희 제거 공작에 말려들었다는 미국음모 설, 권력투쟁에서 차지철에게 밀리다가 성질을 참지 못해서 일을 저질렀다는 ‘성질 때문에’ 설, 대량희생을 막고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몸을 던졌다는 ‘목숨 바친 민주거사’ 설 등등 논란이 아주 많다.
현재는 이 문제를 푸는 것이 10·26 사건의 핵심 과제가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문제를 풀어 줄 자료가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공식 자료 이외에는 공개된 자료가 없었다. 공식자료로는 항소이유서와 항소이유보충서가 있는데, 변호인들이 김재규의 주장을 재판에 유리하도록 정리해 놓은 것이어서 진실을 밝히기에는 한계가 많다.
지금은 김재규의 당시 생각을 알 도리가 없으니 이런 공식문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런 정리된 글은 해석의 여지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변호인단의 작품이 아닌, 김재규의 생각을 요리조리 들어다 볼 수 있는 생생한 자료가 필요하다. 그런 자료가 있다면 심층 분석을 통해서 김재규의 진실을 밝힐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행히 그런 자료가 하나 남아 있다. 김재규 변호인단의 한 사람이었던, 지금은 고인이 된 황인철 변호사가 작성한 ‘김재규 노트’(노트)다.
‘노트’는 황인철 변호사가 노트 필기하는 방식으로 김재규 접견 내용, 재판정 상황과 진행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적어 놓은 것인데 대학노트 두 권에 실려 있고 총 67쪽의 기록물이다.
 
 

 

 


 

‘노트’는 고 황인철 변호사의 부인 최영희 여사가 올해 1월 26일에 사업회에 기증한 자료들 중 하나다. ‘노트’를 보면 황인철 변호사의 마음과 채취가 물씬 풍긴다. 1970년대 가난한 대학생들이 즐겨 사용했던 황색의 노트는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황인철 변호사의 인품을 보여주는 깨알 같은 잔글씨에는 김재규의 진실을 밝혀내려는 그의 집념이 느껴진다. 노트에서 뜯어낸 종이가 한 장도 없는 것을 보면 황인철 변호사의 정확한 일처리 방식도 느낄 수 있다.
‘노트’의 맨 앞장에는 알 수 없는 장군들 이름을 계급별로 적어 놓았고, 다음 장에는 김정두, 이돈명, 조준희, 강신옥, 홍성우, 황인철 등 변호인단 명단을 밝혀 놓았다. 그 다음은 전부 1979년 11월 29일부터 이듬해 5월 20일에 이르는 접견과 재판의 기록이다. 접견과 재판은 날짜와 시간을 적고 내용도 아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다만 워낙 잔글씨인데다 흘려 쓴 글씨가 많아서 판독하기가 쉽지는 않다. 완전한 판독에는 적어도 몇 달은 걸릴 것 같다.

 

대충 훑어본 바로는 김재규의 10·26 거사 연구에는 ‘노트’가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될 것 같다. 김재규의 이야기가 가감 없이 실려 있기 때문에 ‘노트’에 실린 여러 이야기들을 추적하고 논리적으로 재구성한다면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트’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판독과 그 결과의 출판인데, 이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 현재 사업회 사료관에서 좋은 방법을 찾고 있는 중이다.

김재규의 마지막 6개월의 기록
셋째 질문, 김재규의 박정희 살해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너무나 명백하다. 김재규는 유신체제의 핵을 제거해버렸고 그 결과는 유신체제 붕괴라는 역사적 빅뱅으로 이어졌다. 이에 반해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살해는 일본의 침략을 막거나 지연시키지 못했고 일본 군국주의에 타격을 주거나 일본인들의 각성을 얻어내지는 못했다. 그렇다면 김재규의 10·26이 체제 붕괴를 가져온 엄청난 사건이었던 반면, 안중근의 10·26은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한 작은 사건이라는 얘기가 된다.
안중근이 아무리 위대하더라도 그렇다. 그런데도 우리는 안중근은 영웅으로 받들고 김재규는 범죄자로 취급한다. 이것이 우리의 일반적인 역사인식이다.
이런 이상한 역사인식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인간 김재규 그리고 그의 박정희 살해 동기는 반드시 밝혀져야 할 것이다. 나는 이 과제를 푸는 열쇠가 ‘노트’에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많은 관심과 연구를 기대한다.

 

 

 
<최상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