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의도 공원 가는 아침, 바람이 불고 날이 몹시 추웠다. 아름다운 단풍에서 급격히 진갈색으로 사라지는 낙엽들이 여기저기 바람에 휩쓸리고 있었다. 여의도 공원은 쓸쓸했다. 예전에 그곳은 ‘여의도 광장’이었다. 끝이 아득했던 넓디넓은 공간이었다. 거기서 친구들이랑 자전거도 타고 그 옆 한강 갈대밭에서 사진도 찍었다. 대규모 공연이 벌어지는 곳이었고 몇 백만 명이 모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할 수 있는 넉넉한 모임과 소통의 공간이었다.
지난 1999년 정부는 그 넓은 공간에 나무를 심어버렸다. 서울 1천 5백만 명 뿐만 아니라 억울한 일이 있을 때 지방에 올라와 호소하던 사람들의 공간을 막아버린 것이다. 그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나무들을 비집고 자신들의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여의도 광장에 나무를 심어 숲으로 만들었어도 이 곳은 여전히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하고 호소하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
|
농민들에게 여의도 공원은 쓸쓸하고 아픈 곳이었다
“이제 농민들은 여의도 공원에 오는 것을 무서워해요.” 차가운 바람을 뚫고 더 매섭게 정재돈(53) 가톨릭 농민회(가농)회장의 이 말이 나에게 와서 박힌다.
2005년 11월 15일 시위를 하다가 여기 문화마당에서 농민 두 명이 기동대에게 맞아서 숨을 거두었다. 시위하던 농민들은 대부분 노인들이었다. 그런 노인들에게 일반 전경도 아니고 특수부대들이 폭력적인 진압을 했던 것이다. 그런데 폭력적인 진압보다 더 무서운 것은 두 농민의 죽음에 대한 사회적인 침묵과 무관심이었다. 대부분의 많은 시민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안전을 위해 ‘농업의 죽음’을 원했던 것이다. ‘농업의 죽음’이 그들의 경제적 안전을 가져오리라는 것은 엄청난 착각이고 오히려 그들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리라는 것은 자명해 보인다.
오늘의 농민들이 여의도 공원에 얼굴 돌리기도 싫어하지만 1989년에는 그렇지 않았다. 1989년 2·13여의도 전국농민대회 때 여의도 광장은 하나의 큰 소통 공간이었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열기를 투쟁으로 뿜어낼 수 있었다. 그 싸움은 농민 투쟁 중 가장 정점에 있었다. 2·13 투쟁의 영향으로 ‘전국농민회 총연맹’ 농민들의 단일한 조직이 만들어졌고 수세가 폐지되었다.
|
농민들은 수입개방농정 뿐만이 아니라 수세 때문에도 분노했다. 일제 때 농민들에게 부과했던 수세가 아직도 남아있었던 것이다. 1987년 11월 26일 전남 해남에서 처음으로 수세폐지 결의 대회가 열린 뒤 수세 폐지투쟁은 짧은 시기에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지역에서 벌어진 수많은 투쟁들
2월 13일, 여의도에서 있었던 ‘고추 전량수매 쟁취 및 수세폐지 전국농민대회’는 농민들에게 하나의 새로운 전환점이었다. “전국에서 올라온 2만 여 명의 농민들이 하나가 된 날이었습니다. 전국 단위로 그렇게 많은 농민들이 독자적으로 모인 적이 없었습니다.” 그 당시 상주시 농민회 회원이었던 전성도 씨(43세)가 말했다.
2만 여 명 중 가톨릭 농민회, 기독교 농민회, 농민협회 회원은 10%도 안 되고 대부분 농민회원이 아닌 ‘보통 농민들’이었다. 전북 임실에서는 참가한 1천 1백 명 중 가농회원은 60~70명밖에 되지 않았다. 임실 가농회원들이 농민들을 이 대회에 참가시키기 위해 홍보물을 뿌렸을 때 너무 호응이 강해 홍보를 중단할 정도였다. 이렇게 평범한 농민들이 많이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유사 이래 최대의 위기에 처한 농촌 현실’이 있었다. .
참여한 농민들은 대부분 영양, 상주, 청송, 안동 등 고추 농사를 짓던 경상도 중심의 농민과 수세로 고통을 당하던
|
|
서울 시민들의 자유로운 여가 공간이기도 한 여의도. 1989년 당시에는 없던 전철이 들어섰다
|
나주, 강진 등 전라도 농민들이 주축이 되어 전국에 걸쳐 각 지역에서 골고루 농민들이 참여했다. 그 당시 농수산물 수입 개방으로 농촌이 파탄 위기에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고추였다. 정부에서 양담배를 수입하자 담배 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고추로 작물을 바꾸어서 고추가 과잉 생산되고 값이 폭락하였던 것이다. 고추 한 근에 생산비는 2천 6백 원 정도 드는데 가격은 5백 원에 불과했다. 농민들은 정부의 정책에 분노했다.
1988년 8월 영양을 시작으로 봉화, 청송, 안동, 의성으로 고추투쟁이 퍼졌으며 충북 음성, 괴산, 전라도 임실까지 전국적으로 투쟁이 확산되었다. 39개 지역에서 5만여 명이 참여했다.
|
“봉화의 이유인, 이상식, 영양의 이재원, 임실의 강차중, 음성의 최재근, 의성의 강성중, 청송의 이도형, 정읍의 이수금 등을 중심으로 많은 보통농민들이 참여했습니다.”
당시 가농본부 교육부장으로 일했던 정재돈 씨가 말했다. 분노가 큰 만큼 싸움의 양태도 격했다. 봉화에서는 3시간 동안 영동선 철도를 점거, 헬기가 동원되어 최루탄이 뿌려졌다. 임실에서도 전주와 남원 사이 국도를 2시간 반 동안 점거, 농성하기도 했으며 고추더미가 태워지고 군부독재, 재벌, 미국 등의 허수아비가 태워지기도 했다.
|
|
이제 농민들은 여의도 공원에 오는 걸 무서워 한다는 말로 현재 농민들의 심정을 표현한 정재돈 가농회장
|
“충북 영동에서는 교육을 받던 농민 30여명이 군수 집으로 찾아가 죽창을 들고 고추 사줄래, 안 사줄래, 하고 단도직입적으로 물었고 거부하자 팬티만 입혀놓고 업어치기 하고 그랬습니다. 완전히 혁명적인 상황이었어요.” 기독교 농민회에서 일하고 있었던 정광훈 씨(69세, 현 한국 진보연대 상임대표)가 말했다.
농민들은 수입개방농정 뿐만이 아니라 수세 때문에도 분노했다. 일제 때 농민들에게 부과했던 수세가 아직도 남아있었던 것이다. 1987년 11월 26일 전남 해남에서 처음으로 수세폐지 결의대회가 열린 뒤 수세폐지 투쟁은 짧은 시기에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강진, 나주, 순창, 곡성으로 확산된 수세 싸움은 그해 12월 29일 1만 여 명이 모여 ‘부당수세거부 나주농민대회’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전국대책위가 꾸려져 체계적으로 투쟁했으며 이는 해방 이후 단일 과제로 이처럼 여러 지역에서 조직적으로 농민투쟁이 이루어진 것은 처음이었다.
"그 당시 수세폐지 위원장에 윤치영 씨가 부회장은 영암에 사는 이용섭 씨, 총무는 최병상 씨였습니다.” 정광훈 씨가 말했다. 1988년 11월 17일 그는 서울 서대문에 있는 농협중앙회를 다른 농민들과 함께 점거, 농성을 했다. 그들은 농협회장과 간부를 불러놓고 농협의 반농민성에 대해 청문회를 개최하고 농민들에게 잘하겠다는 각서를 받았다. “농성을 끝내고 나오는데 여의도에서 ‘농축산물 수입저지 및 농산물 제값받기 전국농민대회’를 마치고 마포대교를 건너와 행진하는 수많은 농민, 학생들을 보았습니다. 그 광경이 엄청났어요. 너무 감격스러워서 울었습니다.” 그렇게 많은 농민들이 거리에 나와 있는 모습을 처음 본거라 그는 흥분이 되었던 것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13 전국농민대회
이런 아래로부터 농민들의 열기에 최정점이었던 것이 2·13 여의도 농민대회였다. “수백 가지의 형형색색 만장이 말도 못하게 많았어요. 2·13대회 하면 그 만장들이 생각나요.” 정광훈 씨는 그때를 만장으로 기억했다.
“최루탄을 처음 마셔본 무공해 농민들이 미쳐 부러요. 뭘 모르니까 바람 부는 반대쪽으로 가야 최루탄을 덜 마시는데 바람 부는 쪽으로 도망가요. 그러니 더 마시고 그랬어요.” 처음으로 올라온 농민들이 많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통제가 잘 안됐다. 그 와중에 농민대회를 취재하러 온 KBS 차가 불태워졌다.
정재돈 씨는 농민들의 현실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고 올림픽만 미화하는 방송에 대한 반감이 쌓여서 농민들이 자연발생적으로 불태웠다고 했다. 정광훈 씨는 KBS 차를 농민들이 가로 막으니 PD가 농민들에게 욕을 해서 그렇게 했다고 했다. 이유야 어떻든 방송용 차의 타오르는 불길로 여기저기 흩어졌던 사람들이 다시 모였다.
1989년에는 태어나지도 않았을 이 아이들이 훗날 우리 땅에서 나는 농산물을 먹고 살 수 있을까, 한가로이 자전거를 타는 아이들이 마냥 즐거워 보인다.
그 날 전경들은 농민들이 타고 온 차의 창문을 다 부숴 버렸다. 1천 1백 명이 올라온 임실에서만도 버스가 24대가 되었다. 화가 난 사람들 중에 신정훈 나주 농민회 실무자는 그 버스를 다시 경찰서로 몰고 가서 보상을 받기도 했다. 죽창도 발견되어 지방 경찰서장들이 자기 지역 농민들이 가져갔다는 사실을 부정하라고 해서 결국 대나무가 많이 나는 담양경찰서장이 책임지고 옷을 벗었다. 그 당시 임실 지역 수세폐지 위원장 강차중 씨는 “전경의 일방적인 물리력에 맞서 방어 수단으로 죽창을 만들었다.”고 했다.
실제로 여의도 시위가 끝날 무렵, 귀가하기 위해 대절한 버스에 올랐던 농민들 중 상당수가 경찰에 연행됐는데 이때도 죽창을 소지하지 않은 농민들이 주로 잡혀갔다. 노태우 정부는 KBS 차량 방화, 죽창 들을 근거로 여의도 농민대회를 폭력투쟁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으로 매스컴에 보도하게 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국민들의 여론이 농민들에게 우호적이었다. 농민들의 현실에 어느 정도 공감하는 마음이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시민 중 일부가 농민이 직접 지은 농산물보다 핸드폰 등 공산품으로 돈 버는 것을 더 선호하고 그 번 돈으로 외국 농산물 사 먹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농민들이 사라지길 원하고 그들의 생존 투쟁을 범법으로 모는데 동조 내지 지리를 한다.
2·13투쟁이 남긴 것
며칠 동안 전국을 뒤흔들었던 2·13 농민대회가 끝난 후 300평당 23킬로그램이었던 수세가 5킬로그램으로 줄었다.
또한 이 투쟁을 기점으로 전국농민운동연합(전농연)이라는 전국 단위의 농민 조직이 만들어졌다. 전농연은 전국 1백39개 군중 98개 군에서 1백 20개의 농민조직이 가입했다. 가톨릭 농민회 산하단체 80여개, 기독교 농민회 15개 단체,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은 자주적인 농민단체 30여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농연은 전국농민협회가 불참한 절름발이 출발이었다. 농민들의 전국 조직은 1990년 4월 24일 전국농민회 총연맹이란 이름의 온전한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된다.
글 김순천
르포문학, 청계천 사람들 삶의 기록『마지막 공간』과 세계화 시대 비정규직 사람들의 이야기『부서진 미래』의 책임 저자
사진 황석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홍보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