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여명이란 밝은 대낮에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칠흑 같은 어둠을 뚫고 피어오르는 것처럼 민주화 또한 독재와 철권통치의 암울한 시기에 고된 투쟁을 통해 이루어 진다.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점이라 할 6월항쟁이 일어난지 어언 21년. 그런데 어째 날이 마냥 밝지만은 않은지 청계천엔 촛불 꺼질 날이 없다. 갑자기 우리 삶을 전복이라도 하려는 듯 생뚱맞은 어둠이 유령처럼 도처를 배회한다. 이상한 일이다.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와 함께하는 부엉이는 황혼이 깃들어야 비로소 날갯짓을 한다고 일찍이 헤겔이『법철학』 에서 설파한 바 있지만, 민주주의의 완성을 위해서는‘황혼’이 여전히 필요한 것인가. 황혼은 어둠의 전제이자 서곡이다. 그리고 어둠은 역설적으로 다시 희망을 북돋운다. 바야흐로 경제가 공공선인 시대가 도래 했다. 우리의전 존재를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economicus) 로서만 평가하겠다고 한다. 경제 논리 중심에서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일이나 민주화운동을 기록하고 당시 사료를 보존하는 그 동안의 일들은 모두 다 무가치하거나 부담스럽거나 혹은 곤혹스런 일로 폄하되고 치부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하지만 그런 시각이야 말로 무지와 몽매의 소치다. 정권은 유한하지만 민주주의를 지켜내는 민주화운동에 유통 기한은 없다. 그것을 잘 알고 있을 새 정부는 스스로를‘산업화와 민주화를 포섭하는 선진화’를 일굴 정권으로 자기 규정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