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넘어 아시아인들과 함께하는 <아시안 브릿지>
| |||
당신은 아시아를 얼마나 아는가 | |||
얼마 전 편하게 읽기 시작한 장편 소설이 있었다. 그런 소설이라 처음엔 별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는 편한 마음보다는 오히려 발끝에 돌 하나 얹혀 있는 느낌을 받았다. 가난한 난쟁이 아버지와 이주민인 필리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살아가는 한 고등학생 남자 아이의 시각으로 바라 본 어른들의 모습과 우리 사회. 가족 구성원이 낯설지 않은 다문화 가정이란 것 그리고 이제 우리 주변엔 그들이 이웃이고 소외된 자들이라는 것이다. 지역의 소도시, 혹은 농촌 지역에 가면 그와 같은 다문화 가정을 이젠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국경을 넘어 아시와 시민들과 함께, 차이를 호기심 있게 반기는 다양한 문화’라는 모토를 내 건 <아시안 브릿지>를 취재하러 가면서‘아시아 문화’에 대해 공유하지 못하고 책으로만 읽은 것이 못내 아쉽다. “제가 너무 놀란 일이 있어요. 지난번에 아시아 NGO 프로젝트 관련해서 캄보디아에 가는데 여러 단체와 NGO 활동가들이 모였죠. 한 40대 중반 되신 분이 해외에 처음 나간다는 거예요. 그런데 비행기는 많이 탔는데 국내만 다녔고 본인 마일리지가 얼마나 있는지 그런 것도 채 모르시고…….” <아시안 브릿지>의 나효우(47) 운영위원장은 그 분이 해외 여행을 안 해서 놀란 것이 아니라‘국제연대와 아시아 공동체’라는 자연스러운 시대적 흐름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는 것이, 꽤 큰 단체에 있는 사람이 한 번도 아시아를 방문하거나 알지 못한다는 것에 놀라웠다고 말했다. 버마나 티벳, 태국, 파키스탄 이런저런 사태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나라들 이외에 내가 아는 아시아는 텅 비어 있다. | |||
NGO를 위한 <아시아 NGO센터> | |||
‘아시안 브릿지(Asian bridge)’, 단어 그대로 풀이해 아시아인들의‘다리’역할을 한다는 이 단체는 지난 2003년‘NGO를 위한 NGO 단체’로 필리핀에 만든 <아시아 NGO센터>가 모태가 되었다. <아시아 NGO센터>는 국내 NGO 단체나 활동가들을 위해 재충전 할 수 있는 휴식 공간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곳이다. 그 후 5년 동안의 교육과 프로그램, 활동 영역 등이 넓어지고 내용들이 축적되면서 입소문을 타게 됐고 그 후로는 국내 NGO 활동가들뿐만 아니라 국내의 대안학교 중?고등학생들도 연수를 하게 되었다. “저희 센터에서는 그런 걸 하고 싶었어요. NGO 활동가들은 그저 단체에 속해서 일만하고 재교육의 기회가 별로 없다는 거죠. 그냥 그만두면 집에서 쉬다가 다시 활동하기도 하지만 그건 인력 낭비이고 우리 사회의 건강한 인재들을 그냥 쓸모없게 내버려 두는 일 일수도 있어요. | |||
| |||
아시아인을 위한 소통의 역할 | |||
“사회가 변화하고 진화하고 권력이 이동 된다하더라도 어찌 보면 완전한 사회란 결국 불완전한 사회일 뿐이고 오히려 그런 불완전한 사회가 더 완벽할 수 있단 생각을 해요.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죠. 네트워크, 연대, 연합, 동맹 이런 단어들은 이전에 자기들끼리의 그룹이었다면 다른 종, 다른 성, 다른 국가 등 다양한 이종들의 브릿지(가교, 소통)가 이루어지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라고 보는 겁니다. 덧붙이면 이제까지는 제왕적 리더십이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갔지만 앞으로는 브릿지 리더십의 능력이 필요한 활동가들이 좀 더 잘 짜여진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거예요. 편집 능력이 있는 리더, 다양한 목소리를 배치하고 소통하게 하는 능력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단 겁니다.” | |||
| |||
한 예로 멕시코는 미국 은행을 상대로 이러한 권리운동을 펴서 수수료 인하와 은행 거래 확대라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공식 비공식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가 20만 명이 넘는 우리 현실에 아직도 넘지 못하는 이런 일에 안타까움을 느꼈다. 현재 ‘이주민 권리운동’의 하나로 기초 조사 중인 이 사업은 내년에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필리핀에서 진행해온 NGO 활동가 프로그램은 계속 진행하되 사업 내용을 좀 더 부드러운 관계로 소통을 하려고 합니다. 한쪽 면만 보는 게 아니라 다른 면도 보고 그래야 겠죠?” 아시아인들의‘다리’,‘ 가교’역할을 하겠다는 <아시안 브릿지>가 이달 26일 정식으로 공식 출범한다. 그들이 만드는 <아시안 브릿지>, 나도 지금 그들과 함께 아시아에 살고 있다. | |||
| |||
글·사진 황석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홍보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