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d-letter

야마오 산세이와 그의 친구들이 일군 변화 - 일본 야쿠시마를 가다

야마오 산세이와 그의 친구들이 일군 변화 -일본 야쿠시마를 가다

글. 사진 권기봉(작가, 여행가)

일본 큐슈 최남단에 있는 작은 섬 야쿠시마를 찾았다. 제주도 절반만한 크기로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산이 높고 골이 깊은 섬이다. 해발 1,936미터의 큐슈 최고봉 미야노우라다케도 야쿠시마에 있다.

그런데 야쿠시마에 간 이유가 가장 높은 봉우리를 구경하는 데 있던 것은 아니다. 잘 보존된 삼나무 숲 등으로 지난 1993년 일본에서 가장 먼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야쿠시마, 그리고 추정 수령만 최소 2,700살에서 최대 7,200살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삼나무라는 ‘조몬스기’가 자라고 있었기 때문이다.

야쿠시마는 “1년에 366일 동안 비가 온다”고 할 정도로 강수량이 엄청난 곳이다. 그 양이 산중의 경우 무려 1만 밀리미터, 평지도 5천 밀리미터에 달할 정도다. 말 그대로 ‘비의 섬’이다. 게다가 여름이면 여러 개의 태풍이 지나가기에 나무의 생장도 더딘 편이다. 1년에 겨우 5~6센티미터 정도다. 그런데 조몬스기의 높이는 무려 25.3미터, 둘레도 16.4미터에 달했다. 그 오랜 시간을 말없이 웅변하고 있는 듯했다.

그런데 막상 가서 보니 그 엄청난 나이와 크기에만 압도될 일은 아니었다. 나무와 숲을 대하는 일본 사회의 자세를 엿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지금 현재 조몬스기에는 가까이 다가갈 수 없다. 철조망을 둘러쳐 사람들이 가까이 접근할 수 없도록 막아둔 상태다. 지난 1966년에 이 나무를 발견한 이후 관람을 돕기 위해 근처 나무를 모두 베어낸 게 화근이었다. 직사광선이 조몬스기의 몸통에 그대로 닿으면서 습기를 머금고 있던 이끼들이 모두 죽었고, 결국 보호막을 잃은 조몬스기도 하얗게 마르기 시작한 탓이다. 더군다나 주변 나무를 잘라내면서 드러난 흙이 빗물에 쓸려 내려가면서 더군다나 경사진 지반마저 위태로워졌다. 고민하던 일본 환경성은 결국 지금과 같이 30미터 밖에서만 조몬스기를 조망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찬찬히 둘러보니 야쿠시마에서는 조몬스기만이 아니라 수령이 3,000~4,000년 된 고목들, 그리고 불과 몇 년 되지 않은 어린 나무들도 세심하게 관리 되고 있는 걸 발견할 수 있었다. 지난 17세기 에도시대 이래 성행했던 벌목을 1970년대 들어 전면 금지한 이후 적극적인 식재사업을 펼친 결과이자 바로 그 과정의 풍경이었다.

섬의 북서부에 자리 잡은 시라코야마무라라는 작은 마을은 이런 야쿠시마의 오늘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었다. 올해 43세의 사이토 토시히로가 한 증거다.

그의 표정에서는 때 묻지 않은 이에게서나 풍기는 천진하면서도 조심스러운 구석이 엿보였다. 호기심도 많아 보였는데 실제로 대학을 졸업한 뒤 해외봉사를 다니며 세계 각국을 여행했다고 했다. 그러다가 이 마을의 자연과 생명을 노래한 ‘한 권의 책’을 접하면서 이주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조개껍데기 하나만 보고도 바다를 읽는 감수성, 느리게 사는 불편과 불안을 행복으로 승화시키는 여유로움을 갖고 살아가는 이들의 마을은 도대체 어떤 곳인가 궁금했어요.”

책을 접한 그는 호기심을 얼마 안 가 실천으로 옮겼다. 일단 지금의 집 바로 아래에 있는 게스트하우스에 머물면서 그 동네에서만 한 달 정도를 머물기로 작정한 것이다. 이웃이 고구마 밭을 갈러 나가면 따라가 풀을 뽑았고, 집을 고칠 때엔 나무를 나르고 망치질을 했다. 그러면서 평화롭고, 무언가 생명력이 넘치는 마을의 매력에 흠뻑 빠지고 말았다. 특히 울창한 삼나무 숲이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는 지난 2000년, 아예 시라코야마무라로 삶터를 옮겨 버렸다.

“직장이나 학교 문제 등이 아니라면 주거지를 옮긴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닐 겁니다. 저에게도 마찬가지였죠. 하지만 그 어떤 빛을 준다고 해도 반딧불이와는 바꿀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하찮은 미물이라 할지라도 오묘한 생명력은 그 자체로서 완전한 것인데 정작 사람들은 돈과 권력, 명예와 같은 온갖 욕망에 갖혀 그 생명력을 잃은 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고요.”

그런 그의 현재 직업은 야쿠시마 산림보호원이다.

그렇다면 사이토 토시히로 씨를 시라코야마무라, 아니 야쿠시마로 이끄는 원동력이 됐다는 그 ‘한 권의 책’은 무엇일까? 그 궁금증은 이내 풀렸다. 사이토 씨의 아랫집에 살고 있던 야마오 하루미 여사에게서. 그녀는 시인이자 철학자이며 농부이기도 했던 고 야마오 산세이 선생의 처였다.

땅과 호흡하며 자연과 친구처럼 살고자 했던 고 야마오 산세이 선생이 온 가족을 데리고 야쿠시마로 이주해온 것은 지난 1977년. 야쿠시마 사람들의 호소에 응답한 결과였다.

지난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야쿠시마에서는 벌목 사업이 한창이었다고 한다. 거대 기업이 국가적으로 하는 일이다 보니 사실상 주민 누구도 반대를 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그러나 마냥 두고 보기만 할 수도 없었다. 벌목으로 나무가 다 없어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결국 몇몇 주민이 ‘야쿠시마를 지키는 모임’이라는 단체를 만들어 숲이 더 망가지기 전에 섬을 구하자는 운동을 시작했고, 그 방법 중 하나로 떠올린 게 자연과 생명을 노래하는 시를 써온 고 야마오 산세이 선생을 초청하는 것이었다.

“야쿠시마로 와서 그 실상을 보고 시를 써달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 섬의 사람들에게, 그리고 큰 섬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달라고 부탁한 겁니다.”

야마오 하루미 선생은 지난 2001년 삶을 마감한 남편의 사진을 어루만지며 말을 이었다.

“결혼 전이긴 하지만 남편은 이미 도쿄에서 비슷한 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그가 야쿠시마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할 수는 없었던 것 같아요. 남편은 야쿠시마 주민들의 제안을 흔쾌히 승락했고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이곳에 머물며 창작 활동을 계속했지요.”

야마오 산세이는 단순히 환경 보호를 위한 글만 쓴 게 아니었다. 섬 생활이 녹록치 않았지만 그는 끝까지 ‘땅의 사람’이 되고자 애썼다. 익숙하지 않은 농사일로 악전고투하면서도 밭을 일구고 귤나무를 가꾸며 자급자족의 생활을 해나갔다. 그러면서 자연에 대한 신앙심과 사색이 넘치는 시와 수필을 써내려갔다. 그리고 주민들을 조직해 환경의 중요성을 알려나가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야쿠시마에서의 벌목이 완전히 중단되고 섬 자체가 일본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될 수 있었다. 야쿠시마의 자연이 “사람 2만 명에 사슴 2만, 원숭이 2만 마리가 살아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당 부분 복원될 수 있었던 이유다.

자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부름에 책임감을 갖고 응답하고, 평생을 그들과 함께 하며 묵묵히 맡은 일을 해나간 야마오 산세이와 그의 영향을 받아 섬 사람이 되길 마다하지 않은 사이토 토시히로 씨... 7,200살을 자랑하는 조몬스기와 수천 년 수령의 야쿠시마 삼나무들은 우연히 존재하는 관광상품들이 아니었다. 얼핏 소프트한 환경운동 같아 보일 수도 있지만, 실상은 주민들의 행복추구권과 주거권을 비롯한 인권 보장을 위한 굳건한 생명운동이 일본 큐슈 최남단의 외딴 섬 야쿠시마에 자리하고 있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