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온 길

2017년 연혁

  • 12월2017

    제1회 6월민주상 시상

    제1회 6월민주상 시상 2017년 12월 19일(화) 오전 11시, 중구 서소문로 순화동천에서 제1회 6월민주상 시상식이 열렸다. 6월민주상은 민주주의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사례를 발굴, 조사하여 시상함으로써 모범사례를 널리 알려 민주주의의 내용적 확산에 기여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날 아시아인권문화연대가 대상의 영예를 얻었다.
  • 12월2017

    ‘민주가족 송년의 밤’ 개최

    ‘민주가족 송년의 밤’ 개최 2017년 12월 13일(수요일) 저녁 6시 30분, 종로 5가 기독교연합회관에서 350여 명의 민주인사가 모인 가운데 ‘민주가족 송년의 밤’ 행사가 개최되었다. ‘6월민주항쟁 30년 사업보고대회’를 겸한 이날 행사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지선 스님과 6월민주항쟁 30년 사업추진위 공동대표 함세웅 신부의 인사말에 이어 사업회와 추진위가 진행한 6월민주항쟁 30년 사업보고, 주권자전국회의의 활동보고 순으로 진행되었다.
  • 12월2017

    ​<6월항쟁과 국본> 발간

    ​<6월항쟁과 국본> 발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6월항쟁 30주년을 기념하여 <6월항쟁과 국본>을 출간했다. 사업회는 이 책을 전국의 도서관과 관련 연구소 및 6월항쟁 관련자들에게 비매품으로 배포한다. 책에는 6월항쟁에서 큰 역할을 수행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이하 국본)의 결성과 활동을 주도한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이 담겨있다. 필자로 참여한 사람들은 당시 국본의 주요 참여 세력인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천주교, 개신교, 민주화추진협의회의 중견대표들로, 민통련의 성유보, 민추협의 김도현, 천주교의 이명준, 개신교의 황인성, 민통련 지역운동협의회의 이명식 등이다. 국본의 탄생과 6월항쟁의 전략전술을 짜는데 실질적으로 관여하였던 ‘4인 실무기획팀’과 당시 전국적 연계에 나섰던 이명식이 필자로 합류하였다. 국본 결성과 준비 과정에서 수회에 걸쳐 비밀스런 합숙을 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 이들이 생생하게 전하는 국본의 결성과 6월항쟁에서의 활동상은 국본의 실체와 성과를 이해하는 흥미로운 안내서가 될 것이다.​
  • 12월2017

    『기억과 전망』 발간

    『기억과 전망』 발간 한국민주주의 연구소에서는 학술지 『기억과 전망』를 통권 36호를 발간(상반기)하고 이어 통권 37호(하반기)를 발간했다. <기억과 전망> 2017년 겨울호(통권 37호에는 총 6편의 논문과 1편의 회고록, 1편의 서평이 실렸다. 특집논문은 ‘6월민주항쟁 30년의 문화’라는 주제로 두 편의 논문을 묶었다. 먼저 김형철(성공회대)의 논문 “86세대의 집단 간 사회적 자본과 정치적 정체성 비교”는 6월항쟁에 참여한 86세대를 다루고 있다. 특히 전체 86세대와 그 가운데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이하 전대협) 활동가를 포함한 학생운동 참여자 집단을 나누고, 양자 간의 사회자본과 정치적 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학생운동 참여자들이 비참여자보다 호혜성과 연대성, 정치참여도가 더 높지만, 전체적으로 모든 86세대는 이념성향, 개혁성향 등이 비슷한 집단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 11월2017

    제8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개최

    제8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개최 2017년 11월 11일 토요일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청운관에서는 제8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가 공동주최하고 교육부,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전국 16개 광역시도 교육청이 후원하였습니다. 제8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에는 전국에서 72개 모둠 380여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했고, 그중 활동원고 심사를 통과한 12개 모둠. 70여명의 학생들이 전국에서 올라온 참가자들에게 자신들의 정책을 알리고 서로 격려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15분 발표와 5분 질의응답을 거치는 방식으로 치러진 본 대회에서는 서울 개포고등학교 6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물망초와 꿀박사들’ 모둠이 대상(국회의장상)을 차지했습니다.
  • 11월2017

    김장 나눔 행사 진행

    김장 나눔 행사 진행 11월 24~25일 이틀간 노원구 중계동 불암산 자락 천수농장에서 김장 나눔 행사를 개최했다. 우리 사업회가 주관하고 5.18기념재단이 후원한 이 날 행사는 유가협, 민가협 어르신들과 함께 진행했으며, 80box의 김장김치를 독립운동 및 민주화운동 가족들에게 배포했다.
  • 11월2017

    시민의식종합조사 결과보고서 발간

    한국민주주의연구소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포함한 사실상 최초의 종합적인 민주주의 시민의식조사를 7~8월 두 달간 수행하고 결과보고서를 발간했다.
  • 11월2017

    2017 서울민주주의포럼 개최

    2017 서울민주주의포럼 개최 2009년 시작되어 5회를 맞이하는 격년제 국제포럼인 ‘2017서울민주주의포럼’를 11월 2일 조계사 내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개최하였다. ‘시민혁명과 새로운 민주주의-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8개국 15명의 민주주의 활동가와 100여명의 관객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하였다. 오늘날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민주주의가 있기까지 아시아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조명하고, 국제 연대의 필요성을 재확인 하였다. 한국의 촛불혁명, 핀란드의 전자민주주의를 통한 민주주의 지원에 대한 주제발표가 있었다.
  • 10월2017

    『경기민주화운동사』,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와 과제』 발간

    『경기민주화운동사』,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와 과제』 발간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지역민주화운동사 연구총서‘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경기민주화운동사』를 10월 10일에 펴냈다. 이어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한국 민주주의의 현안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와 과제』를 10월 16일에 발간했다.
  • 09월2017

    역사교과서 서술분석 공청회 개최

    역사교과서 서술분석 공청회 개최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는 9월 15일, 국회의원 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역사교과서의 민주화운동 서술분석과 민주주의 관점의 재구성 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설훈 의원실, 유은혜 의원실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 08월2017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토론회 개최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토론회 개최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는 6·10민주항쟁 30주년을 기념해 2회의 국제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다. 8월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문화와 민주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포괄적이고 참여적인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이어 10월에도 독일 베를린에서 “한국 민주화 30년 - 정치, 사회, 경제”라는 주제로 개최하였다.
  • 06월2017

    제6대 이사장 지선스님 취임

  • 06월2017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역사전시회, ‘1987, 우리들의 이야기’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역사전시회, ‘1987, 우리들의 이야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주최하고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대전민예총, 부산가톨릭센터 등이 주관하는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역사전시회 – 1987, 우리들의 이야기’전이 오는 6월 5일(월) 서울 경복궁역 메트로미술관 전시 개막을 시작으로 9월까지 전국 5개 주요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개최하였다. - 사업회는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역사전시회를 준비하기 위해 콘텐츠 연구사업과 지역별 연대사업을 진행해 왔다. 작년 상반기부터 지역별 6월항쟁 연구와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 집필, 6월항쟁 기록물 컬렉션 구성, 전시콘텐츠 구축, 시민 기억 영상 인터뷰 제작, 기본 디자인 설계 등 준비했다.
  • 06월2017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 거행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 거행 행정자치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2017년 6월 10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기억과 다짐’을 주제로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 대통령과 정세균 국회의장, 여야 대표 등 정관계 인사들,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등 민주화운동 단체 회원과 노동단체, 여성단체 활동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밖에 일반 시민들과 학생 등 총 5천여 명이 기념식장 자리를 채웠다. 기념식을 전후해 전국 각지에서도 6·10민주항쟁 30주년을 기념하는 문화행사가 열렸다.
  • 06월2017

    6.10민주항쟁 구술사업

     6.10민주항쟁 구술사업 전국 단위의 구술 수집 사업으로 지역별 연구‧기념단위와 함께 추진하였습니다. 각 지역의 6‧10민주항쟁 관련 주요인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부문‧주요단체, 시위참여 시민‧학생, 노동자‧농민 등 113명의 구술인터뷰와 231시간 54분 분량의 구술을 수집하였습니다.
  • 06월2017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학술토론회 개최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 학술토론회 개최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는 6․10민주항쟁 3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토론회를 6월 7~8일 양일간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하였다. 『6월항쟁, 촛불혁명, 한국 민주주의_30년의 넘나듦과 나아감』이라는 대주제하에 6월 7일에 「민주화 30년, 6월항쟁과 촛불혁명」, 6월 8일에는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와 과제」를 주제로 열렸다.
  • 06월2017

    6․10민주항쟁 30년 라디오 홍보캠페인

    기획관리실은 6월민주항쟁 30년의 현재적 의미를 널리 알려 시민들의 관심 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6월 한 달 동안 라디오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40초 분량으로 제작하여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아침)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저녁), 그리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아침)를 통해 하루 3회씩 총 90회 송출하였다.
  • 05월2017

    6․10민주항쟁 30년 스토리 공모

    6․10민주항쟁 30년 스토리 공모 기획관리실은 5월 한 달 동안 6월항쟁 30년 ‘6월 이야기’ 스토리 공모를 진행하고 다큐멘터리로 제작하여 6월 10일 저녁 8시 KBS 1TV를 통해 전국에 방영하였다. 6월항쟁을 겪어보지 못한 자녀세대가 부모세대가 겪었거나 들려주고 싶은 6월항쟁 이야기를 취재하여 영상으로 채록했다. 200여 명이 인터뷰어-인터뷰이로 참여했고 우수작품에 대해서는 국회의장상 등을 수여했다.
  • 05월2017

    『6월 민주항쟁』 발간

    『6월 민주항쟁』 발간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는 6월민주항쟁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를 집대성하고 새로운 발견과 평가를 담은 본격적인 학술서인『6월 민주항쟁: 전개와 의의』를 5월 29일 발간했다.
  • 05월2017

    지역 민주주의 현장탐방 운영(대구/대전/부산/청주)

    지역 민주주의 현장탐방 운영(대구/대전/부산/청주) 6월민주항쟁 30주년을 맞아 지역 민주화운동 계승단체 4곳과 공동으로 ‘지역 민주주의 현장탐방’을 5월부터 운영하였다. 4개 지역 36팀 1,020명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참가하였다. 대구는 민주화운동과 선거, 대전은 민주주의와 사법, 부산은 민주주의와 평화, 충북은 민주화운동과 행정 등 지역 특색에 맞게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 04월2017

    2017 교사연수 “선생님과 함께하는 현대사 이야기” 진행

    2017 교사연수 “선생님과 함께하는 현대사 이야기” 진행 4월 22일(토)부터 23일(일)까지 전국의 초중등 선생님 21명과 함께 교사연수 “선생님과 함께하는 현대사 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 하이서울유스호스텔과 서울시내 근현대사 유적지에서 진행한 이번 연수는 선생님들의 현대사 교양 강화와 살아있는 역사교육 활성화를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 04월2017

    청소년 민주주의 현장탐방 운영(자유학기제/올레)

    청소년 민주주의 현장탐방 운영(자유학기제/올레) ‘청소년 민주주의 현장탐방’은 중학교 1학년 학생 대상인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 2015년 개발하였다. 올해 4월부터 20회 497명이 참가하였다. 또한, ‘청소년 민주주의 현장탐방’ 사업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 청소년 120팀, 3,467명이 우리 사업회를 비롯해 광화문길(4·19혁명길), 명동길(6월항쟁길)을 탐방했다.

© 200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대표자 이재오   고유번호 104-82-07602

[본   사] 16029 경기도 의왕시 내손순환로 132
T.031-361-9500   F.031-361-9576

[기념관] 04322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71길 37 민주인권기념관
T.02-6918-0102~6   F.02-6918-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