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억과 전망(전문 학술지)

기억과 전망 41호

기억과 전망 41호


기억과 전망 41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지선)는 민주주의 관련 전문학술지 기억과 전망』 41호를 발간했다.

▢ ​『기억과 전망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2002년 1호 발간을 시작으로 한국과 세계의 민주주의민주화운동시민사회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술 담론과 연구성과 발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연 2회 발간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대표 학술지.

▢ ​ 41호에는  41호에는 총 17편이 투고되었으며 전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통해 총 2편의 특집 논문과 5편의 일반논문이 선정되었다. 또한 회고록과 서평이 말미에 각 한편씩 수록되어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했다.

▢ ​ 이번 41호 특집의 주제는 <‘탄핵촛불의 다양성>이다. 이번 주제는 촛불 3주년을 맞아 기획되었으며 첫 번째로 수록된 특집 논문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임미리)는 촛불집회 당시 발생했던 폭력-비폭력 논쟁을 새롭게 재해석하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당시 촛불집회가 평화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참여주체의 비폭력뿐만 아니라 공권력의 법질서 준수로 인해 폭력 자체가 불필요했기 때문이다. 보수의 균열로 비폭력, 준법, 평화가 가능해 공간은 광장을 시민들의 축제의 장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한편 광장을 준법시민의 온건한 목소리에 한정짓고 노동자, 농민의 생존권을 건 투쟁, 도시하층민 등 비시민을 배제하는 논리로도 작동했다. 다만 다양한 깃발의 등장, 여성주의 전선의 등장은 다양한 균열이 공존과 접합할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 특집 논문은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엄은희·박준영(서울대))는 촛불집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한 여러 주체들 가운데 해외의 재외동포, 특히 인도네시아의 재외동포와 그 조직 촛불행동JKT’에 주목한 글로서 이들의 참여와 조직화의 과정을 풀뿌리 사회운동’, 원거리 민족주의 그리고 세계시민되기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였다.

▢ ​ 이밖에도 41호에 수록된 5편의 일반논문은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김영순) ▲「4.16 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이현정)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박철)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해금 전후()의 역사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허민)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전누리)이다.

▢ ​ 또 이번 41호에서는 양길승 원진직업병관리재단 이사장의 회고록도 눈에 띈다. 학생운동을 거쳐 평생을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그리고 시민운동에 헌신해온 양 이사장의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은 한 운동가의 치열한 삶을 담아낸 역사 자료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과정에서 그가 동료들과 함께 만들고 이끈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노동과건강연구회, 원진직업병관리재단, 녹색병원 등의 설립 배경이 잘나와 있어, 한국의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 ​ 학술지 기억과 전망41의 내용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http://www.kdemo.or.kr/)와 한국민주주의연구소 (http://ikd.kdemo.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목차]

 

<책머리에>

_오제연

 

<특집 탄핵촛불의 다양성>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_임미리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_엄은희박준영

 

<일반 논문>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_김영순

 

4.16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_이현정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 _박철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해금 전후()의 역사 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 _허민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 _전누리

2 0 1 9 년 겨 울 호 (통 권 4 1 )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 _양길승

 

<서평>

세대, 한국형 위계 구조의 핵심 차원

(이철승. 2019.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_이상직 

 

 

 

목록으로